[문제 설명]
이 문제에서 두 정수 배열의 대소관계를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.
- 두 배열의 길이가 다르다면, 배열의 길이가 긴 쪽이 더 큽니다.
- 배열의 길이가 같다면 각 배열에 있는 모든 원소의 합을 비교하여 다르다면 더 큰 쪽이 크고, 같다면 같습니다.
두 정수 배열 arr1과 arr2가 주어질 때, 위에서 정의한 배열의 대소관계에 대하여 arr2가 크다면 -1, arr1이 크다면 1, 두 배열이 같다면 0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작성해 주세요.
[입출력 예]
arr1 | arr2 | result |
[49, 13] | [70, 11, 2] | -1 |
[100, 17, 84, 1] | [55, 12, 65, 36] | 1 |
[1, 2, 3, 4, 5] | [3, 3, 3, 3, 3] | 0 |
[차근 차근 생각해보기]
- 먼저 arr1, arr2의 배열들을 각각의 길이까지 돌면서 각 원소들의 합을 구해준다.
- arr1의 길이가 arr2의 길이보다 작으면 1을 반환하고 아니면 2를 반환한다.
- 만약 arr1의 길이가 arr2의 길이와 같고 각 두 배열의 원소의 합이 같다면 0을 반환한다.
- arr1의 길이가 arr2의 길이와 같고 arr1의 원소의 합이 arr2의 원소의 합보다 크다면 1을 반환한다.
- arr1의 길이가 arr2의 길이와 같고 arr1의 원소의 합이 arr2의 원소의 합보다 작다면 -1을 반환한다.
[코드]
<수정 전>
class Solution {
public int solution(int[] arr1, int[] arr2) {
int answer = 0;
int ar1 = 0;
int ar2 = 0;
for(int i : arr1){
ar1 += i;
}
for(int i : arr2){
ar2 += i;
}
if(arr1.length > arr2.length){
answer = 1;
}else{
answer = -1;
}
if(arr1.length == arr2.length && ar1 == ar2){
answer = 0;
}else if(arr1.length == arr2.length && ar1 > ar2){
answer = 1;
}else if(arr1.length == arr2.length && ar1 < ar2){
answer = -1;
}
return answer;
}
}
<수정 후>
class Solution {
public int solution(int[] arr1, int[] arr2) {
int answer = 0;
int ar1 = 0;
int ar2 = 0;
for(int i : arr1){
ar1 += i;
}
for(int i : arr2){
ar2 += i;
}
if(arr1.length > arr2.length || (arr1.length == arr2.length && ar1 > ar2)){
answer = 1;
}else if(arr1.length < arr2.length || arr1.length == arr2.length && ar1 < ar2){
answer = -1;
}else{
answer = 0;
}
return answer;
}
}
[반성할 점]
문제를 그대로 코드로 옮겨 잘 풀었다.
하지만 수정 전 코드를 보면 조금 지저분하다는 느낌이 강했다.
공통된 것을 찾아보니 return되는 값이 공통되었고 공통되는 조건을 한 곳에 묶었더니 조금 더 깔끔한 코드가 되었다.
보기 좋은 코드가 좋은 코드라고해서 최대한 보기 좋고 깔끔하게 만들어보려고 하는데 아직 어렵다ㅠ
꾸준히 하다보면 나도 언젠간 성장해있겠지..!
'알고리즘 > 프로그래머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프로그래머스] - ad 제거하기 (0) | 2023.07.12 |
---|---|
[프로그래머스] - 5명씩 (0) | 2023.07.04 |
[프로그래머스] - 뒤에서 5등 위로 (0) | 2023.06.27 |
[프로그래머스] - 배열 만들기 1 (0) | 2023.06.22 |
[프로그래머스] - n 번째 원소부터 (0) | 2023.06.19 |